전체 글 88

230315 SpringBoot - H2 테이블 생성 실패

yml 설정과 @entity, h2 데이터베이스 연결까지 모두 무난히 된 것 같은데 자꾸 테이블 생성이 되지 않아서 찾다찾다 보니 하위폴더를 잘못 생성한 걸 알게되었다. 처음엔 com.sunny 의 하위폴더로 domain을 만들고 그 안에 Board를 만들었는데 application 파일과 함께 있는 blog 폴더 하위에 넣어주고 나니 멀쩡하게 잘 만들어진다... 휴우..^^ https://www.inflearn.com/questions/398556/h2-%ED%85%8C%EC%9D%B4%EB%B8%94-%EC%83%9D%EC%84%B1-%EC%8B%A4%ED%8C%A8 h2 테이블 생성 실패 - 인프런 | 질문 & 답변 [사진] SpringBootApp 실행시 위와 같이 정상 로그가 찍히는 것으로 확인..

230307 JPA -EntityManager, Persistence Context

EntityManager : JPA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영속성 컨텍스트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검색하는데 사용됨 엔티티의 상태를 추적하고, 트랜잭션을 관리하며,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영속성 컨텍스트 : JPA에서 관리하는 엔티티(객체)들의 상태와 라이프사이클을 추적하는 환경 "영속성"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 객체의 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시 검색할 수 있는 프로세스 객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일치시키는 것

230220 JPA - mappedBy 사용

_Template0217.zip 풀어서 이름 바꾸고 설정 바꿔서 import spring data jpa 에서 빠지지 않는 것 @Entity @Id 어노테이션 필수 JPA로 양방향 참조를 하게 되면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지만, 최대한 객체지향에 맞는 코드를 생산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상에서는 PK/FK를 이용한 단방향 밖에 없다. 먼저 하고 그 이후 양방향으로 수정. mappedBy 일대다 및 다대일 관계에서 사용: 하나의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의 컬렉션을 가지고 있는 경우 또는 다른 엔티티에 대한 참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mappedBy를 사용하여 두 엔티티 간의 연관 관계를 설정 연관 관계의 소유 주체 정의: 소유 주체는 외래 키 관리를 담당하는 엔티티 측, 이 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실제로 외..

230215 JPA 시작

Java Persistence API (JPA)와 Hibernate 데이터베이스와 자바 객체 간의 상호 작용을 관리하고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핑을 위한 기술 Hibernate는 JPA의 구현체 중 하나 spring.jpa.hibernate.ddl-auto=update update / create/ create-drop update일 경우에는 행 drop이 안됨 create는 없으면 create하고 시작 mtest.html은 모달창 테스트용 선생님 제공 파일 모달 창 열기 모달 창 모달 창 입니다. 모달 창 닫기 MyData.java package com.study.springboot.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

230213 H2 Database 이용

h2 database 이용해보기 -서비스 용도가 아님 dependencies jar파일 세팅해서 개발환경 맞춰주는것 application.properties server.port=9797 spring.thymeleaf.cache=false #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 h2 database web으로 확인 spring.h2.console.enabled=true spring.h2.console.path=/h2-console # spring - h2 연결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h2.Driver spring.datasource.url=jdbc:h2:~/spring-test-db # embedded Mode : db 데이터 저장 위치 : ~/..

230209 Thymeleaf + Bootstrap

xml 파일의 사용 이유 : 수정이 용이하다. erd는 설계가 아니라 분석 단계에 가까움 log.info 는 sysout 과 같은 역할 더 나음 ex4.html ex4.html layout1.html Sample Layout Header Page content goes here Sample Layout Footer static에서 불러다 쓰고 있는 것 redirect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켜주는 기능 삭제가 안돼서 골머리였는데 delete 메소드 넣어주고 경로가 잘못된 거였다!